728x90
프록시 서버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는 서버다.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직접 연결하는 대신, 프록시 서버를 통해 요청을 보내고 응답을 받는다. 이를 통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
- 보안: 프록시 서버는 클라이언트의 IP 주소를 숨기고, 서버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을 막아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프록시 서버는 보안 정책을 적용하여 악의적인 트래픽을 필터링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 캐싱: 프록시 서버는 요청된 리소스의 사본을 저장하여, 이후 동일한 요청이 발생할 때 서버에 다시 요청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제공함으로써 성능을 향상시킨다. 이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하고 웹 페이지 로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 로드 밸런싱: 프록시 서버는 여러 서버 간의 트래픽을 분산시켜 서버 부하를 균형있게 유지하고 서비스의 가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접근 제어: 프록시 서버는 특정 사이트 또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를 제한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이는 회사나 학교 등에서 내부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적용될 수 있다.
프록시 서버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네트워크 보안, 성능 최적화, 접근 제어 등의 목적으로 활용된다.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
포워드 프록시와 리버스 프록시는 둘 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서 중계 역할을 수행하지만,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작한다.
포워드 프록시 (Forward Proxy)
-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와 외부 서버 사이에서 동작한다.
- 클라이언트는 포워드 프록시에게 요청을 보내고, 포워드 프록시는 이 요청을 외부 서버로 전달한다.
- 반복적인 작업이 많을 사용하면 클라이언트에서 온 정보를 Forward Proxy에서 캐싱이 가능하다. 캐싱을 통해 빠른 응답과 네트워크 대역폭을 절약할 수 있다.
- 회사나 학교 등에서 내부 네트워크의 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때 주로 사용된다. 내부 클라이언트들이 포워드 프록시를 통해 외부 서버와 통신하므로, 보안 정책을 쉽게 적용하고 관리할 수 있다.
리버스 프록시 (Reverse Proxy)
- 리버스 프록시는 외부 클라이언트와 내부 서버 사이에서 동작한다.
- 클라이언트는 리버스 프록시에게 요청을 보내고, 리버스 프록시는 이 요청을 내부 서버로 전달한다.
- 리버스 프록시를 통해서 서버가 요청을 분할해서 받는다.
- 주로 웹 서비스의 가용성, 보안 및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리버스 프록시는 로드 밸런싱을 통해 서버 부하를 분산시키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직접적인 접근을 막을 수 있다. 또한 SSL 종단점을 관리하고 캐싱을 통해 서버 부하를 줄일 수도 있다.
요약하면, 포워드 프록시는 클라이언트를 대신하여 외부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반면, 리버스 프록시는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아 내부 서버에 전달한다.
참고
728x90
'knowledge > computer scie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기식/비동기식 개념과 장단점 (0) | 2024.03.12 |
---|---|
임베디드 시스템, 범용 컴퓨팅 시스템 (0) | 2024.02.26 |
[네트워크] 쿠키와 세션 (1) | 2024.02.13 |
[네트워크] TCP와 UDP (1) | 2024.02.06 |
[DB] 여러 트랜잭션이 경쟁하면 생기는 문제 (0) | 2024.02.01 |